북한은 수요일에 첫 번째 정찰위성을 궤도에 올려 놓았다고 밝혔으며, 소위 말하는 적들의 위험한 군사 작전을 방어하기 위해 추가 발사를 약속했습니다.
조선중앙통신(KCNA)에 따르면 위성 ‘만리경 1호’는 화요일 늦게 신형 운반로켓 ‘천리마 1호’에 실려 발사됐다.
조선중앙통신은 “정찰위성 발사는 북한의 자위권 강화를 위한 법적 권리”라고 밝혔다.
북한과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한국과 미국, 일본 모두 위성이 궤도에 진입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한국은 이번 발사가 북한의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을 금지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수요일 오전, 한국 정부는 양국을 분리하는 비무장지대(DMZ)에 대한 한국의 정찰 및 감시 활동을 제한하는 북한과의 협정을 부분적으로 중단했습니다.
위성을 탑재한 로켓은 남쪽 방향으로 발사돼 일본 오키나와현 상공을 통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시다 후미오(岸多文雄) 일본 총리는 이번 발사를 일본 국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규탄하고,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한국과 계속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거듭 밝혔다.
우리 군은 수요일 성명을 통해 미국과 긴밀히 협력하여 발사 준비를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성명서는 발사 추적을 위해 한국과 미국, 일본의 이지스 구축함이 배치됐으며 발사 세부 사항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야자와 히로유키 일본 방위상은 일본이 북한의 위성이 궤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여전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세 번째 위성 발사 시도
북한은 지난 5월 말 처음으로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으려 시도했으나 위성을 탑재한 로켓 2단이 오작동을 일으키며 바다에 추락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새 엔진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이 “낮고” 사용 연료도 “불안정”해 임무가 실패했다고 밝혔다.
당시 KCNA 보고서는 “8월 3단계 비행 중 비상폭파 시스템에 오류가 발생해 두 번째 시도가 실패했다”고 밝혔다.
일본 관계자에 따르면 이 로켓은 여러 부분으로 부서진 뒤 황해, 동중국해, 태평양에 떨어졌다고 한다.
김성 북한 대사는 2차 발사 실패 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반항적인 연설에서 정찰위성 프로그램을 추구하는 것은 “주권국가로서 북한의 정당한 권리”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이 위성 발사를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을 확보하려 했다는 사실을 부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