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은 인류에게는 비극이지만 음식 배달 플랫폼에는 호재다. 국내 식음료 매출은 2020년 17조3300억원으로 전년 9조7400억원에서 급증했다. 이번 공중보건 위기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할 때, 동아일보를 비롯한 여러 추정에 따르면 2021년에도 성장세가 견조할 것으로 보인다.

독일 기업 딜리버리히어로의 CEO인 니클라스 오스트베리가 최근 한국을 상대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독일에 대해 언급한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딜리버리히어로는 종종 단순히 배민이라고 불리는 배달의민족 배달의민족(“Delivery Nation”)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최대의 음식 배달 앱입니다.

본거지인 독일에서 회사는 지난주 지역 배달 앱인 Foodpanda가 독일의 6개 대도시를 떠나 베를린 중부로 운영을 제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회사는 공식적으로 “독일 시장의 지형이 크게 바뀌었다”는 이유로 축소를 정당화했습니다. 실제로 Oestberg는 배달 및 승차 호출 앱 직원이 실제 직원이 되는 것을 보게 될 유럽 연합의 현재 제안 초안을 비판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우버, 딜리버리히어로 등 앱 내 서비스 제공자가 프리랜서라고 주장하는 기업의 급여, 복리후생, 보험, 연금까지 포함하면 비용이 치솟게 된다.

한국 시장에 대한 Oestberg의 트윗을 일부 한국 언론만이 알아차렸지만, 이는 소셜 미디어에서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Oestberg는 독일과 비교하여 한국의 엄청난 배달 사업 규모를 강조함으로써 느슨한 한국 노동법이 자신의 사업에 좋다는 것을 무의식적이지만 정확하게 암시했습니다.

하지만 긱 근로자를 프리랜서로 고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약한 규제가 한국에서 이 산업이 성공한 유일한 이유는 아닙니다.

음식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글로벌 전염병, 소비자 행동 및 인구 통계학적 변화에 힘입어 점점 더 강해지고 있습니다.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서울의 분주한 지역, 예를 들어 강남에 가서 매시간 포장된 음식을 손에 들고 거리를 가득 채우는 오토바이 라이더 군대를 보는 것은 충격적이었습니다. 고용노동부의 11월 자료에 따르면 15세에서 69세 사이의 한국인 취업자의 8.5%인 220만 명이 현재 온라인 플랫폼에서 생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중 약 30%(66만 명)가 배달과 운송업에 종사하고 있다.

한국의 가능성을 본 딜리버리히어로는 올해 10월 배민 운영사 인수를 완료했다(딜리버리히어로는 국내 2위 음식 배달 앱인 요기요를 소유했지만 공정거래위원회가 배민을 인수하는 조건으로 매각해야 했다. 정부는 딜리버리히어로가 두 앱을 모두 지배할 경우 독점 가능성을 우려했다).

독일 회사나 음식 배달 산업 전체가 순조롭게 진행되지는 않을 것입니다.